[Algorithm] 트리(tree)
트리는 노드와 에지로 연결된 그래프의 특수한 형태로,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.
- 순환 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고, 1개의 루트 노드가 존재한다.
- 루트 노드를 제외한 노드는 단 1개의 부모 노드를 가진다.
- 트리의 부분 트리 역시 트리의 모든 특징을 가진다.
트리의 핵심 이론
- 노드 : 데이터의 index와 value를 표현하는 요소
- 에지 : 노드와 노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선
- 루트 노드 : 트리에서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노드
- 부모 노드 : 두 노드 사이의 관계에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노드
- 자식 노드 : 두 노드 사이의 관계에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노드
- 리프 노드 : 트리에서 가장 하위에 존재하는 노드 (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)
- 서브 트리 : 전체 트리에 속한 작은 트리
백준 p11725번 - 트리의 부모 찾기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//p11725 트리의 부모 찾기
static int N;
static ArrayList<Integer> tree[];
static boolean[] visited;
static int[] answer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args)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tree = new ArrayList[N+1];
visited = new boolean[N+1];
answer = new int[N+1];
for(int i=0;i<tree.length;i++){
tree[i] = new ArrayList<>();
}
StringTokenizer st;
for(int i=1;i<N;i++)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node1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node2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tree[node2].add(node1);
tree[node1].add(node2);
}
DFS(1); //부모 노드부터 DFS 실행
for(int i=2;i<=N;i++){
System.out.println(answer[i]);
}
}
static void DFS(int node){
visited[node] = true;
for(int i: tree[node]){
if(!visited[i]){
answer[i] = node;
DFS(i);
}
}
}
}